반응형
대법원 2017. 1. 12. 선고 2016다217741 판결
1.문제점
주식회사의 정관에서 주주총회 성립에 관한 의사정족수를 규정할 수 있는지 여부
2.판결요지
상법 제368조 제1항은 주주총회의 보통결의 요건에 관하여 “총회의 결의는 이 법 또는 정관에 다른 정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써 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여 주주총회의 성립에 관한 의사정족수를 따로 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보통결의 요건을 정관에서 달리 정할 수 있음을 허용하고 있으므로, 정관에 의하여 의사정족수를 규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3.참조조문
상법 제368조(총회의 결의방법과 의결권의 행사)
① 총회의 결의는 이 법 또는 정관에 다른 정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써 하여야 한다. <개정 1995. 12. 29.>
② 주주는 대리인으로 하여금 그 의결권을 행사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그 대리인은 대리권을 증명하는 서면을 총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2014. 5. 20.>
③ 총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개정 2014. 5. 20.>
반응형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주총회 결의의 하자와 자본감소 무효의 소 (0) | 2023.04.16 |
---|---|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와 신의성실의 원칙 (0) | 2023.04.15 |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의 의미 (상법 제374조 제1항 제1호) (0) | 2023.04.15 |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와 영업용 재산의 처분의 구분 (0) | 2023.04.15 |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의 판단기준 (상법 제374조) (0) | 2023.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