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법

주주권 확인과 확인의 소

by Kenntnis 2023. 4. 11.
반응형

대법원 2019. 5. 16. 선고 2016다240338 판결

 

 

 

1.문제점

 

1) 이행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데도 확인의 소를 제기한 경우, 확인의 이익이 있는지 여부 및 확인의 이익이 있는지는 법원이 직권으로 판단할 사항인지 여부

 

2) 주식을 취득한 자가 주권 제시 등의 방법으로 주식 취득 사실을 증명하여 회사에 단독으로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

 

 

 

2.판결요지

 

1) 확인의 소는 법적 지위의 불안·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확인판결을 받는 것이 가장 유효·적절한 수단인 경우에 인정되고, 이행을 청구하는 소를 제기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확인의 소를 제기하는 것은 분쟁의 종국적인 해결방법이 아니어서 확인의 이익이 없다. 또한 확인의 소에 확인의 이익이 있는지는 직권조사사항이므로 당사자의 주장 여부에 관계없이 법원이 직권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2) 주식을 취득한 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점유하고 있는 주권의 제시 등의 방법으로 자신이 주식을 취득한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회사에 대하여 단독으로 그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다. 

 

 

 

3.참조조문

 

상법 제336조(주식의 양도방법)

 

① 주식의 양도에 있어서는 주권을 교부하여야 한다.

② 주권의 점유자는 이를 적법한 소지인으로 추정한다.

[전문개정 1984. 4. 10.] 

 

 

상법 제337조(주식의 이전의 대항요건)

 

① 주식의 이전은 취득자의 성명과 주소를 주주명부에 기재하지 아니하면 회사에 대항하지 못한다.  <개정 2014. 5. 20.>

② 회사는 정관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명의개서대리인을 둘 수 있다. 이 경우 명의개서대리인이 취득자의 성명과 주소를 주주명부의 복본에 기재한 때에는 제1항의 명의개서가 있는 것으로 본다.  <신설 1984. 4. 10.>

[제목개정 2014. 5. 20.]

반응형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의 명의신탁과 확인의 소 (제3자 양도)  (0) 2023.04.11
주식 명의신탁  (0) 2023.04.11
주식양도와 명의개서 청구권  (0) 2023.04.11
주권의 선의취득  (0) 2023.04.11
제권판결의 취소와 권리의 우선순위  (0) 2023.04.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