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헌법

목적의 정당성 (가산점 제도)

by Kenntnis 2023. 6. 6.
반응형

헌재 1999. 12. 23. 98헌마363

 

 

 

1.문제점

 

목적의 정당성 

 

 

 

2.판결요지

 

가산점제도의 주된 목적은 군복무 중에는 취업할 기회와 취업을 준비하는 기회를 상실하게 되므로 이러한 불이익을 보전해 줌으로써 제대군인이 군복무를 마친 후 빠른 기간내에 일반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데에 있다.

 

인생의 황금기에 해당하는 20대 초·중반의 소중한 시간을 사회와 격리된 채 통제된 환경에서 자기개발의 여지없이 군복무 수행에 바침으로써 국가·사회에 기여하였고, 그 결과 공무원채용시험 응시 등 취업준비에 있어 제대군인이 아닌 사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불리한 처지에 놓이게 된 제대군인의 사회복귀를 지원한다는 것은 입법정책적으로 얼마든지 가능하고 또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이 입법목적은 정당하다. 

 

 

하지만 가산점제도가 추구하는 공익은 입법정책적 법익에 불과하다. 그러나 가산점제도로 인하여 침해되는 것은 헌법이 강도높게 보호하고자 하는 고용상의 남녀평등, 장애인에 대한 차별금지라는 헌법적 가치이다.

 

그러므로 법익의 일반적, 추상적 비교의 차원에서 보거나, 차별취급 및 이로 인한 부작용의 결과가 위와 같이 심각한 점을 보거나 가산점제도는 법익균형성을 현저히 상실한 제도라는 결론에 이르지 아니할 수 없다.

반응형

'헌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권 제한 수단의 한계  (0) 2023.06.06
수단의 적합성  (0) 2023.06.06
과잉금지원칙과 그 적용  (0) 2023.06.06
과잉금지원칙의 내용과 그 근거  (0) 2023.06.06
공공필요의 의미와 공공복리와의 관계  (1) 2023.06.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