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1987. 7. 21. 선고 86다카2446 판결
1.문제점
상법 제69조 제1항의 규정취지
2.판결요지
상법 제69조 제1항의 매수인의 목적물의 검사와 하자통지의무에 관한 규정의 취지는 상인간의 매매에 있어 그 계약의 효력을 민법 규정과 같이 오랫동안 불안정한 상태로 방치하는 것은 매도인에 대하여는 인도 당시의 목적물에 대한 하자의 조사를 어렵게 하고 전매의 기회를 잃게 될 뿐만 아니라, 매수인에 대하여는 그 기간중 유리한 시기를 선택하여 매도인의 위험으로 투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게 되는 폐단 등이 있어 이를 막기 위하여 하자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을 가진 매수인에게 신속한 검사와 통지의 의무를 부과함으로써 상거래를 신속하게 결말짓도록 한 것이다.
3.참조조문
상법 제69조(매수인의 목적물의 검사와 하자통지의무)
① 상인간의 매매에 있어서 매수인이 목적물을 수령한 때에는 지체없이 이를 검사하여야 하며 하자 또는 수량의 부족을 발견한 경우에는 즉시 매도인에게 그 통지를 발송하지 아니하면 이로 인한 계약해제, 대금감액 또는 손해배상을 청구하지 못한다. 매매의 목적물에 즉시 발견할 수 없는 하자가 있는 경우에 매수인이 6월내에 이를 발견한 때에도 같다.
② 전항의 규정은 매도인이 악의인 경우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반응형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법 제69조의 임의규정성 (0) | 2023.04.04 |
---|---|
상법 제69조의 불완전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에 적용 되는지 여부 (0) | 2023.04.04 |
상인과 비상인의 공동행위와 상법 제3조의 적용 (0) | 2023.04.04 |
판결확정된 채무에 대한 보증채무와 상법의 적용 여부 (상법 제64조) (0) | 2023.04.04 |
건설공사 도급계약 하자담보책임과 상법 적용 여부 (상법 제64조) (0) | 2023.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