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19. 2. 14. 선고 2015다255258 판결
1.문제점
이사가 주주총회결의 취소의 소를 제기하였다가 소송 계속 중이나 사실심 변론종결 후에 사망한 경우, 소송이 중단되지 않고 그대로 종료하는지 여부
2.판결요지
이사가 그 지위에 기하여 주주총회결의 취소의 소를 제기하였다가 소송 계속 중에 사망하였거나 사실심 변론종결 후에 사망하였다면, 그 소송은 이사의 사망으로 중단되지 않고 그대로 종료된다. 이사는 주식회사의 의사결정기관인 이사회의 구성원이고, 의사결정기관 구성원으로서의 지위는 일신전속적인 것이어서 상속의 대상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3.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233조(당사자의 사망으로 말미암은 중단)
① 당사자가 죽은 때에 소송절차는 중단된다. 이 경우 상속인ㆍ상속재산관리인, 그 밖에 법률에 의하여 소송을 계속하여 수행할 사람이 소송절차를 수계(受繼)하여야 한다.
② 상속인은 상속포기를 할 수 있는 동안 소송절차를 수계하지 못한다.
상법 제376조(결의취소의 소)
① 총회의 소집절차 또는 결의방법이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하거나 현저하게 불공정한 때 또는 그 결의의 내용이 정관에 위반한 때에는 주주ㆍ이사 또는 감사는 결의의 날로부터 2월내에 결의취소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 <개정 1984. 4. 10., 1995. 12. 29.>
② 제186조 내지 제188조, 제190조 본문과 제191조의 규정은 제1항의 소에 준용한다. <개정 1984. 4. 10., 1995. 12. 29.>
반응형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주총회결의취소소송의 제소기간 준수 여부 (청구의 변경) (0) | 2023.05.07 |
---|---|
주주총회결의 취소소송 및 부존재 확인의 소송의 원고적격 (0) | 2023.04.16 |
이익공여의 금지와 주주총회 결의의 하자 (0) | 2023.04.16 |
주주총회결의에 절차상의 하자 (명의개서를 하지 아니한 주식양수인에 대한 주주총회소집 미통지) (0) | 2023.04.16 |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의 법적성질과 주식매매대금 지급의무의 이행기 (0) | 2023.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