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03. 2. 11. 선고 2002다62029 판결
1.사안
'경리담당이사'는 회사를 대표할 권한이 있는 것으로 인정될 만한 명칭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하여 상법 제395조에 따른 회사의 책임을 부정한 사례
2.판결요지
상법 제395조에 정한 표현대표이사의 행위로 인한 회사의 책임이 성립하기 위하여는 회사의 대표이사가 아닌 이사가 외관상 회사의 대표권이 있는 것으로 인정될 만한 명칭을 사용하여 거래행위를 하여야 하고, 그와 같은 명칭이 표현대표이사의 명칭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사회 일반의 거래통념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경리담당이사'는 회사를 대표할 권한이 있는 것으로 인정될 만한 명칭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고 하여 상법 제395조에 따른 회사의 책임을 부정한 사례.
3.참조조문
상법 제395조(표현대표이사의 행위와 회사의 책임)
사장, 부사장, 전무, 상무 기타 회사를 대표할 권한이 있는 것으로 인정될 만한 명칭을 사용한 이사의 행위에 대하여는 그 이사가 회사를 대표할 권한이 없는 경우에도 회사는 선의의 제삼자에 대하여 그 책임을 진다.
반응형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현대표자와 묵시적 승인 (상법 제395조) (0) | 2023.05.09 |
---|---|
이사의 자격이 없는 표현대표이사 (상법 제395조) (0) | 2023.05.09 |
표현대표이사의 성립 요건 (상법) (0) | 2023.05.09 |
대표이사의 대표권 남용행위 (상법) (0) | 2023.05.09 |
주주의 의결권행사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이사회결의의 효력 및 소집통지시 목적사항도 통지하여야 하는지 여부 (0) | 2023.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