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법원 2020. 2. 6. 선고 2019다270217 판결
1.문제점
영업양수인의 책임 범위
2.판결요지
상법 제42조 제1항은 영업양수인이 양도인의 상호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 양도인의 영업으로 인한 제3자의 채권에 대하여 양수인도 변제할 책임이 있다고 규정함으로써 양도인이 여전히 주채무자로서 채무를 부담하면서 양수인도 함께 변제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으나, 위 규정이 영업양수인이 양도인의 영업자금과 관련한 피보증인의 지위까지 승계하도록 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영업양수인이 위 규정에 따라 책임지는 제3자의 채권은 영업양도 당시 채무의 변제기가 도래할 필요까지는 없다고 하더라도 그 당시까지 발생한 것이어야 하고, 영업양도 당시로 보아 가까운 장래에 발생될 것이 확실한 채권도 양수인이 책임져야 한다고 볼 수 없다.
3.참조조문
상법 제42조(상호를 속용하는 양수인의 책임)
① 영업양수인이 양도인의 상호를 계속사용하는 경우에는 양도인의 영업으로 인한 제3자의 채권에 대하여 양수인도 변제할 책임이 있다.
② 전항의 규정은 양수인이 영업양도를 받은 후 지체없이 양도인의 채무에 대한 책임이 없음을 등기한 때에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양도인과 양수인이 지체없이 제3자에 대하여 그 뜻을 통지한 경우에 그 통지를 받은 제3자에 대하여도 같다.
반응형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법 제42조 제1항의 규정 취지 및 유추적용 여부 (0) | 2023.04.01 |
---|---|
상호속용 양수인 책임의 존속기간 (상법 제45조) (0) | 2023.04.01 |
부실등기의 책임과 등기신청권자의 고의·과실 (상법 제39조) (0) | 2023.04.01 |
부실등기에 있어서의 고의과실의 판단기준이 되는자 (상법 제39조) (0) | 2023.04.01 |
이사 선임 주주총회결의에 대한 취소판결 (상법 제39조) (0) | 2023.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