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13. 5. 24. 선고 2012다39769,39776 판결
1.문제점
상사유치권의 대상이 되는 ‘물건’에 부동산이 포함되는지 여부
2.판결요지
상사유치권은 민사유치권의 성립요건을 변경·완화하여 채권자보호를 강화함으로써 계속적 신용거래를 원활·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당사자 사이의 합리적인 담보설정의사를 배경으로 하여 추인된 법정담보물권으로, 민사유치권과 달리 목적물과 피담보채권 사이의 개별적인 견련관계를 요구하지 않는 대신 유치권의 대상이 되는 물건을 ‘채무자 소유의 물건’으로 한정하고 있어 이러한 제한이 없는 민사유치권과는 차이가 있으나(대법원 2013. 2. 28. 선고 2010다57350 판결 참조), 민사유치권과 마찬가지로 그 목적물을 동산에 한정하지 않고 ‘물건 또는 유가증권’으로 규정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상사유치권의 대상이 되는 ‘물건’에는 부동산도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3.참조조문
상법 제58조(상사유치권)
상인간의 상행위로 인한 채권이 변제기에 있는 때에는 채권자는 변제를 받을 때까지 그 채무자에 대한 상행위로 인하여 자기가 점유하고 있는 채무자소유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유치할 수 있다. 그러나 당사자간에 다른 약정이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민법 제320조(유치권의 내용)
① 타인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점유한 자는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생긴 채권이 변제기에 있는 경우에는 변제를 받을 때까지 그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유치할 권리가 있다.
② 전항의 규정은 그 점유가 불법행위로 인한 경우에 적용하지 아니한다.
'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사유치권 배제 특약 (묵시적 약정) (0) | 2023.04.03 |
---|---|
선행저당권자와 상사유치권자의 우선순위 (상법 제58조) (0) | 2023.04.03 |
조합원들의 연대책임 (상법 제57조) (0) | 2023.04.02 |
조합의 구성원들이 상인인 경우, 탈퇴한 조합원에 대한 지분환급의무 및 연대채무 (상법 제57조) (0) | 2023.04.02 |
상행위로 인한 채무의 범위 (상법 제54조) (0) | 2023.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