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헌재 2000. 6. 1. 99헌마553
1.문제점
1) 0협중앙회라는 결사체 자체도 그 결사의 구성원인 회원조합들과 별도로 결사의 자유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 여부
2) 회원의 임의탈퇴나 임의해산이 불가능하고 반드시 법률로 따로 정하여 해산하도록 하고 있는 등 사법인에서 볼 수 없는 공법인적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는 0협중앙회가 기본권의 주체가 될 수 있는 법인인지 여부
2.결정요지
1) 법인 등 결사체도 그 조직과 의사형성에 있어서, 그리고 업무수행에 있어서 자기결정권을 가지고 있어 결사의 자유의 주체가 된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축협중앙회는 그 회원조합들과 별도로 결사의 자유의 주체가 된다.
2) 헌법상 기본권의 주체가 될 수 있는 법인은 원칙적으로 사법인에 한하는 것이고 공법인은 헌법의 수범자이지 기본권의 주체가 될 수 없다. 축협중앙회는 지역별·업종별 축협과 비교할 때, 회원의 임의탈퇴나 임의해산이 불가능한 점 등 그 공법인성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할 것이지만, 이로써 공법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고, 이 역시 그 존립목적 및 설립형식에서의 자주적 성격에 비추어 사법인적 성격을 부인할 수 없으므로, 축협중앙회는 공법인성과 사법인성을 겸유한 특수한 법인으로서 이 사건에서 기본권의 주체가 될 수 있다.
반응형
'헌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률유보원칙의 적용 (1) | 2023.06.04 |
---|---|
지방자치단체의 기본권 주체성 (0) | 2023.04.07 |
공직자의 기본권 주체성 (지방자치단체장) (0) | 2023.04.07 |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 (0) | 2023.04.07 |
태아의 기본권 주체성 (0) | 2023.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