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헌법

지방자치단체의 기본권 주체성

by Kenntnis 2023. 4. 7.
반응형

헌재 2006. 2. 23. 2004헌바50

 

 

 

1.문제점

 

지방자치단체가 재산권 등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 여부

 

 

 

2.결정요지

 

기본권 보장규정인 헌법 제2장의 제목이 “국민의 권리와 의무”이고 그 제10조 내지 제39조에서 “모든 국민은 ……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기본권의 보장에 관한 각 헌법규정의 해석상 국민만이 기본권의 주체라 할 것이고, 공권력의 행사자인 국가, 지방자치단체나 그 기관 또는 국가조직의 일부나 공법인은 기본권의 “수범자”이지 기본권의 주체가 아니고 오히려 국민의 기본권을 보호 내지 실현해야 할 ‘책임’과 ‘의무’를 지니고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이 사건에서 지방자치단체인 청구인은 기본권의 주체가 될 수 없고 따라서 청구인의 재산권 침해 여부는 더 나아가 살펴볼 필요가 없다.

반응형

'헌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률의 명확성원칙 판단기준  (1) 2023.06.04
법률유보원칙의 적용  (1) 2023.06.04
법인의 기본권 주체성  (0) 2023.04.07
공직자의 기본권 주체성 (지방자치단체장)  (0) 2023.04.07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  (0) 2023.04.07

댓글